네트워크

· 네트워크
TCP의 큰 특징을 꼽으라하면 신뢰성 있는 프로토콜, 연결지향 프로토콜 그리고 네트워크 혼잡 제어이다. 이번엔 TCP가 혼잡을 제어하는 방식을 알아보자. 전통적인 혼잡 제어 앞선 글에서 살펴봤 듯이 전통적인 TCP는 네트워크의 지원없이 종단 간에(송신자와 수신자 끼리) 혼잡을 제어한다. 기본적으로 TCP는 혼잡이 발생하면 송신율을 낮추고, 혼잡이 없다면 송신율을 높인다. 혼잡 제어는 TCP의 흐름 제어와 유사하게 Congestion Window(혼잡 윈도우) 크기를 조절해가며 전송속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흐름제어는 수신 측 버퍼에서 패킷이 버려지지 않도록 송신자와 수신자가 속도를 맞추는 것이고 혼잡 제어는 네트워크 혼잡 비용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네트워크 혼잡 비용은 앞선 글에서 상세히 다뤘다. 혼잡을..
· 네트워크
혼잡의 원인과 비용네트워크에 혼잡이 발생하게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 지를 시나리오 별로 살펴본다. 시나리오 1단일 라우터라우터 버퍼 크기는 무한 (패킷이 버려지지 않음)재전송, 흐름 제어, 혼잡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2개의 송신자 2개의 수신자  단일 라우터를 공유하는 4개의 호스트가 존재한다. 이 때 송신자(Host A,B)는 링크 용량의 절반인 R/2 아래로 전송하면 수신률은 좌측 그림처럼 선형 증가한다. R/2를 초과하게되면 라우터의 버퍼는 무한하기에 패킷은 버려지지 않고 딱 R/2만큼 전송된다. 하지만 전송률이 아닌 지연의 관점에선 R/2에 근접할 수록 지연은 무한대가 된다. 여기서 지연은 큐잉 지연을 뜻한다. 예를 들어 버퍼에 10개의 패킷이 도착한 경우 첫 패킷은 지연없이 바로 전송되지만 뒤..
H@eCh@n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글 목록